바리스타(Barista), 바 안에서 만드는 사람
바리스타는 이탈리아어로 '바 안에서 만드는 사람'이라는 뜻이며, 바텐더와 구분해 전문적으로 커피를 만드는 사람을 말합니다.
바라스타에 대한 관심은 커피문화의 정착 뿐 아니라 커피프린스 1호점이라는 드라마의 역할도 있었다고 생각합니다.
바리스타라는 명칭에 대해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았나 싶네요.
커피바리스타가 되기 위해서 꼭 드라마 속 주인공처럼 멋지고 잘 생겨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.^^*
또 주인공인 '고은찬'처럼 유학을 가지 않고도 국내에서의 교육을 통해 얼마든지 바리스타가 될 수 있죠.
최근에는 유명 커피전문점에서 실시하는 아카데미를 비롯해 대학교의 평생교육원, 사회교육원에서도 바리스타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
깊고 은은한 향기를 가진 사람, 커피바리스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요건
ㅁ 커피를 일정하고 균일하게 뽑아내는 능력이 필요합니다.
한 번에 1잔의 커피만을 뽑아낸다고 했을 때는 경력의 차이를 느끼기 힘들 수 있습니다. 이제 갓 배운 사람도 심혈을 기울여 한 잔의 커피를 맛있게 뽑아낼 수 있죠. 하지만 여러 잔을 한꺼번에 뽑아낸다고 했을 때 같은 추출시간, 같은 양을 같은 색깔과 크레마로 그리고 모든 잔의 맛까지 똑같도록 추출할 수 있을까요?
기본 교육이나 시험이 아닌 경험과 훈련을 통해서 이뤄내야 하는 것입니다.
ㅁ 에스프레소의 맛과 향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.
즉, 같은 원두를 쓰더라도 에스프레소의 맛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, 앞서 말한 것처럼 능숙한 바리스타와 초보 바리스타가 같은 원두로 다른 맛의 커피를 뽑아낼 수도 있다는 거죠. 탬핑, 추출시간의 조절은 바리스타의 노하우니까요.
ㅁ 다양한 종류의 커피와 블렌드, 에스프레소 관련 기기들과 그에 관련된 다양한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.
"너무 쓰지 않지만 달게 해주세요", "약간 커피맛이 진하면서 부드럽게 해주세요" 등 손님마다 커피 취향은 모두 다를 수 있습니다.
이 경우 손님의 입맛에 맞게 커피를 만들 수 있도록 커피의 종류 뿐 아니라 블렌딩하는 양과 방법, 기계를 다루는 것에도 익숙해져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
간혹 바리스타의 필수조건으로 '라떼아트'를 꼭 배워야하는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많이 봅니다.
라떼아트는 커피를 더욱 멋스럽게 보이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.
라떼아트를 하지 못한다고 해서 유능한 바리스타가 아니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죠.
에스프레소의 깊은 향과 맛, 그리고 멋을 선사할 수 있는 바리스타가 되시길 바랍니다.
'알찬 취업정보 > 직업탐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살아있는 조형물 만들기 ‘토피어리 디자이너’ (0) | 2011.10.27 |
---|---|
꿈과 희망을 만드는 '테마파크 디자이너' (0) | 2011.10.25 |
당신의 사회생활을 코치해 주는 '커리어 코치' (0) | 2011.10.17 |
10년 뒤에는 '항공기 정비원'이 1등! (0) | 2011.10.13 |
그림으로 펼치는 세계 '일러스트레이터' (0) | 2011.10.10 |